'지방상수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8.03 지방상수도 운영 문제점 및 효율성 강화 방안

오늘은 수도사업 특히 영세한 지방상수도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목은 "지방상수도 운영 효율성 강화 방안 검토' 라고 하죠.^^

 

 

지방상수도 운영 문제점 및 효율성 강화 방안

 

(개요)

우리나라의 군단위 지자체는 재정이 열악하고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상수도사업 운영 효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으며,

또한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전문성 미흡, 시설운영의 개별적 운영으로 인한 비효율성 등의 상수도 운영상에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현행 지자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방상수도 운영을 광역시단위의 운영체계로 재편하는 등의 개선방안이 요구됩니다.

 

 

(현행 문제점)

 

인구감소

현재 우리나라는 지자체의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축소가 진행되어 전국 228개 기초지자체 중 85개가 30년 내에 사라질 것으로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성 결여

군단위의 지자체는 예산부족, 상수도 시설 운영 전문기술자 부족 등의 이유로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수도 품질 또한 저하될 가능성 높은 상황이다.

군의 경우 수도시설 관리·운영·요금 업무 등 특·광역시와 같은 업무를 추진하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과 낮은 근평, 잦은 순환근무 등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높은 생산원가

군 단위 지자체는 상수도 생산원가가 1,913원/㎥(특·광역시 711원/㎥), 수도요금이 854원/㎥(특·광역시 638원/㎥)로, 요금현실화율이 44.6%(특·광역시 89.7%)에 불과한 것 등 만성적인 적자운영 상태이다.

앞으로 이런 추세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정 및 경영 악순환

군단위 지자체는 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상수도 생산원가는 높은 상황으로 상수도 사업의 경영 악순환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법의 한계

‘수도법’에서는 수도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수도사업자가 시장·군수로만 되어 있어 광역도는 수도사업 참여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현재 재정이 열악한 군단위 지자체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개선 방안)

 

지방상수도 현황, 상황 분석

재 161개 지방상수도로 세분화되어있는 우리나라 지방상수도 현황을 파악하여 영세성으로 인한 각종 비효율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중장기적 운영 효율성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 우리나라 상수도의 운영현황(전국 상수도의 운영현황, 조직현황 등)

 

기존 사례 분석

- 지방상수도의 효율성 개선 기존 사례분석

- 제주도에서 기초지자체 4개 수도사업을 도로 통합한 사례 등

 

광역단위 상수도 사업 개선방안 연구

-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 형태별 특성, 장단점 등 분석

-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에 대한 장애요인과 애로사항 검토

- 합리적인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 모델 구축 및 방법 제시

 

수도법 개정

현행 수도사업자를 시장 군수에서 광역시도, 전문공기업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으로 관련 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맺음말)

우리나라의 군단위 지자체는 재정이 열악하고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어 상수도사업 운영 효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자체의 인구감소, 상수도시설 운영에 관한 전문성 결여, 높은 생산원가, 재정 및 경영 악순환, 수도사업자를 지자체로 제한한 수도법의 한계 등 지방상수도에 대한 효율성제고를 통해 먹는물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상수도 현황 파악, 기존사례 분석 및 수도법 개정 등을 통해 광역단위 상수도로 전환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정부(환경부)는 군 단위 지자체에 대해 광역도에서 수도사업을 직접 경영하여 수도사업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참고자료)

-

'E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주파 소음  (0) 2018.08.08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개정  (0) 2018.08.08
조류경보제  (0) 2018.08.01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 요약  (0) 2018.08.01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0) 2017.05.18
Posted by 수자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