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늘은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정부(환경부)는 지하수오염 관리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이하 지하수 규칙)’을 개정하여 8월 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지하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규칙은 지하수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지하수의 수질보전 및 정화에 관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라고 규칙 제1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번 지하수 규칙 개정으로 지하수 오염원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지하수는 오염되고 나면 본래 상태로 복원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지하수 수질보전을 위한 사전예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규칙의 목차를 알아보면,

제1조 목적
제2조 오염방지시설의 설치기준 등
제2조의2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종류
제3조 조치명령 등
제4조 [종전 제4조는 제2조의2로 이동 <2018.8.6>]
제5조 지하수오염 조치결과의 신고
제6조 지하수오염관측정의 설치방법 등
제7조 오염지하수정화기준 등
제7조의2 지하수오염유발시설관리자에 대한 조치 등
제8조 오염지하수정화계획 변경승인 등
제9조 수질측정망 설치 및 수질오염실태 측정 계획의 수립·고시
제10조 수질검사대상
제11조 지하수의 수질기준
제12조 수질검사의 주기
제13조 수질검사의 절차
제14조 검사기관
제15조 수질검사결과통보서
제16조 지하수정화업의 등록
제17조 수수료

이렇게 총 17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지하수 규칙 개정안은 지하수오염유발시설에 해당하는 시설을 확대하고, 해당시설 관리자가 이행해야 하는 조치사항을 보다 체계적으로 명시하는 것을 골자로 개정되었는데요, 개정안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하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 주요내용)

 

지하수오염유발시설 확대(안 제2조의2 및 별표2)

토양오염검사에 따라 토양정화조치 명령을 받은 시설에 국한하던 것에서 토양오염신고, 토양오염실태조사 및 오염검사에 따라 토양정밀조사 또는 토양정화조치 명령을 받은 시설로 확대하였다.

 

지하수오염관측정의 측정주기 등 개선(안 제6조 및 별표3)

지하수오염관 수질측정 주기를 토양 정화완료 전 분기 1회, 정화완료 후 반기 1회 측정하도록 개정하였다.(현행, 토양정화 완료 후에 2년 동안 반기 1회 측정)

 

지하수오염유발시설 관리자에 대한 조치절차 구체화(안 제7조의2)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 제출명령 시 제출기한을 6개월 이내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6개월 범위 안에서 1회 연장가능하며, 조치명령 이행자는 완료일 15일 이내에 조치명령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지하수 수질기준 및 검사주기 합리화(안 제11조·제12조 및 별표4)

유기인(농약)에 대한 지하수 수질기준(비음용)을 먹는물과 동일하게 조정하고, 수질 검사를 준공확인증 받은 날을 기준으로 2년 또는 3년마다 실시토록 하여 분기 말 수질검사 쏠림현상을 방지하였다.

(지하수 수질기준)

항목 

 현행

 개정

 유기인

(mg/L)

 0.005

(디이아지논+파라티온+이피엔+펜토에이트+메틸-S-디메톤의 합)

0.02(다이아지논)

0.06(파라티논)

 

□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대상을 확대

기존에는 토양오염검사에 따라 토양정화조치 명령을 받은 시설에 국한했으나, 앞으로는 토양오염신고 및 토양오염실태조사에 따라 토양정화조치 명령을 받은 시설도 지하수오염유발시설로 관리하도록 했다.

지하수오염유발시설에 대한 지하수오염 조사시기는 기존 토양정화명령 이후 단계에서 토양정밀조사 단계로 앞당겼다.

이에 따라, 지하수 오염이 확인될 경우 토양정화 시 지하수정화도 동시에 이행할 수 있게 되었다.

□ 다음은 지하수오염유발시설 관리자가 이행해야 할 관측정 조사주기,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 제출기한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

기존에는 지하수오염관측정의 수질 조사주기를 정화완료 이후에만 반기별로 1회 측정하도록 하였으나, 앞으로 정화완료 이전에도 분기별로 1회 측정하도록 개정했다.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 제출기한은 6개월 이내로 정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6개월의 범위에서 1회 연장하도록 하여 오염지하수에 대한 정화 등의 조치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했다.

지하수오염평가보고서에는 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위해성, 오염범위, 오염원인 평가, 오염방지대책 등을 포함하며, 지하수오염유발시설 관리자가 시설개선 등 조치명령을 완료한 때에는 15일 이내에 완료보고서를 제출토록 하여 그 적절성 여부를 지자체장이 확인하도록 하였다.

□ 마지막으로 지하수 수질기준 및 수질검사 주기 등을 합리적으로 조정

유기인(농약)에 대한 지하수 수질기준을 먹는물 기준과 동일하게 조정하고, 수질 검사주기를 ’준공확인증을 받은 날이 속하는 분기의 말일‘에서 ‘준공확인증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실시토록 개정하여 수질검사 신청이 특정일에 집중되는 것을 해소했다.

Posted by 수자환
,

습지의 현명한 이용

EIA 2018. 8. 5. 18:52
습지의 현명한 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연환경관리기술사, 환경영향평가사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죠.


- 습지는 지표 탄소의 40%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 특히 이탄습지 및 산림습지는 탄소량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 이러한 습지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습지의 현명한 이용(the Wise Use of Wetlands)’이라고 합니다.


- 이는 ‘인류의 유익을 위해 습지를 생태계의 자연 요소로서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Davis, 1993), 

- 람사르협약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 하에 생태적 접근의 실행을 통해 습지의 생태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여

- 습지의 현명한 이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복원을 위한 지식의 원천  (0) 2018.08.05
용어(기후변화)  (0) 2018.08.05
GBIF  (0) 2017.05.13
AHP(계층분석법)  (0) 2017.01.05
가로림만조력 환경영향평가  (0) 2017.01.05
Posted by 수자환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07회 시험에 출제된 문제인데요.

'생태복원을 위한 지식의 원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생태복원학회는 생태복원을 위한 지식의 원천을

- 논리적 사고와 지식에 근거한 것
- 전통적인 생태 지식
- 과학에 근거한 것

으로 구분하였다고 합니다.

- 생태복원 이후 체계적으로 진행된 생태적 모니터링의 수행은 논리적 사고와 지식, 그리고 과학에 근거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며,

- 이러한 맥락에서 생태복원의 시작은 모니터링이라고 하지요.

- 그만큼 복원 사업에 있어서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 우리의 실상은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 대부분의 생태복원에 대한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여 관련 예산을 책정하는데 인색할 수밖에 없는데요.

- 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나 사례를 취합하여 정책집행에 기초자료를 제시해야 할것이며,

- 관련 법, 규정을 제개정하여 환경영향평가법의 사후환경영향조사처럼 생태복원모니터링의무제를 명문화하여야 하겠습니다.

'E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의 현명한 이용  (0) 2018.08.05
용어(기후변화)  (0) 2018.08.05
GBIF  (0) 2017.05.13
AHP(계층분석법)  (0) 2017.01.05
가로림만조력 환경영향평가  (0) 2017.01.05
Posted by 수자환
,

용어(기후변화)

EIA 2018. 8. 5. 14:09

사회면에서는 새로운 용어와 이슈들이 지속적으로 생산, 가공되고 있는데요.

용어의 의미를 알지 못하면, 흐름을 따라가는데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사회 이슈에 따라 계속적으로 용어정리를 해볼려고 합니다. 일단 저 자신부터 모르는 용어가 너무 많아 공부할겸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략적인 의미를 파악한다고 생각하시고 편안하게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페이지는 기후변화 관련 용어 입니다.(요즘 기후변화다 지구온난화다 뭐다 머리 아픕니다 ㅋ).

 

○ 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화 유엔환경계획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기후변화대책위원회('08.12.24, 위원장 : 국무총리)에서 확정된 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대책에 따라,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전략적 연구 및 정책지원 수행을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설립․운영하는 비법정조직으로

- 2009년부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을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로 지정하여 운영 중입니다.

 

 

○ 폭염 취약성 지수

- 기후노출도, 민감도, 적응능력을 바탕으로, 폭염에 대응하는 능력의 상대적인 차이를 0~1사이로 표준화한 값임

- 기후노출은 기상청에서 제공한 1개월 장기 전망자료를 활용하고

- 65세 이상 노인·5세 미만 영유아 등 기후에 노출 되었을 때 민감한 영향군을 대상으로 지역별 적응능력을 고려하여 산출함

- 환경부 홈페이지에 공개(2018/08/01부터)

-  최근 폭염이 장기화되고 피해가 확산됨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지역별 여건을 고려한 폭염대응 효율화를 지원하기 위해 공개

- 지역별로 기후노출(폭염발생 가능성) 뿐 아니라 폭염에 민감한 영향군, 적응능력과 같은 사회·경제적 인프라를 고려한 대책 추진이 필요하며

-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현상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역역량 제고 등 중·장기적 대응 필요 인식제고되어야 할 것임.
 

'E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지의 현명한 이용  (0) 2018.08.05
생태복원을 위한 지식의 원천  (0) 2018.08.05
GBIF  (0) 2017.05.13
AHP(계층분석법)  (0) 2017.01.05
가로림만조력 환경영향평가  (0) 2017.01.05
Posted by 수자환
,

오늘은 수도사업 특히 영세한 지방상수도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목은 "지방상수도 운영 효율성 강화 방안 검토' 라고 하죠.^^

 

 

지방상수도 운영 문제점 및 효율성 강화 방안

 

(개요)

우리나라의 군단위 지자체는 재정이 열악하고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상수도사업 운영 효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으며,

또한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전문성 미흡, 시설운영의 개별적 운영으로 인한 비효율성 등의 상수도 운영상에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현행 지자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방상수도 운영을 광역시단위의 운영체계로 재편하는 등의 개선방안이 요구됩니다.

 

 

(현행 문제점)

 

인구감소

현재 우리나라는 지자체의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축소가 진행되어 전국 228개 기초지자체 중 85개가 30년 내에 사라질 것으로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성 결여

군단위의 지자체는 예산부족, 상수도 시설 운영 전문기술자 부족 등의 이유로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수도 품질 또한 저하될 가능성 높은 상황이다.

군의 경우 수도시설 관리·운영·요금 업무 등 특·광역시와 같은 업무를 추진하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과 낮은 근평, 잦은 순환근무 등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높은 생산원가

군 단위 지자체는 상수도 생산원가가 1,913원/㎥(특·광역시 711원/㎥), 수도요금이 854원/㎥(특·광역시 638원/㎥)로, 요금현실화율이 44.6%(특·광역시 89.7%)에 불과한 것 등 만성적인 적자운영 상태이다.

앞으로 이런 추세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정 및 경영 악순환

군단위 지자체는 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상수도 생산원가는 높은 상황으로 상수도 사업의 경영 악순환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법의 한계

‘수도법’에서는 수도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수도사업자가 시장·군수로만 되어 있어 광역도는 수도사업 참여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현재 재정이 열악한 군단위 지자체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개선 방안)

 

지방상수도 현황, 상황 분석

재 161개 지방상수도로 세분화되어있는 우리나라 지방상수도 현황을 파악하여 영세성으로 인한 각종 비효율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중장기적 운영 효율성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 우리나라 상수도의 운영현황(전국 상수도의 운영현황, 조직현황 등)

 

기존 사례 분석

- 지방상수도의 효율성 개선 기존 사례분석

- 제주도에서 기초지자체 4개 수도사업을 도로 통합한 사례 등

 

광역단위 상수도 사업 개선방안 연구

-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 형태별 특성, 장단점 등 분석

-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에 대한 장애요인과 애로사항 검토

- 합리적인 광역도 단위 사업추진 모델 구축 및 방법 제시

 

수도법 개정

현행 수도사업자를 시장 군수에서 광역시도, 전문공기업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으로 관련 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맺음말)

우리나라의 군단위 지자체는 재정이 열악하고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어 상수도사업 운영 효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자체의 인구감소, 상수도시설 운영에 관한 전문성 결여, 높은 생산원가, 재정 및 경영 악순환, 수도사업자를 지자체로 제한한 수도법의 한계 등 지방상수도에 대한 효율성제고를 통해 먹는물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상수도 현황 파악, 기존사례 분석 및 수도법 개정 등을 통해 광역단위 상수도로 전환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정부(환경부)는 군 단위 지자체에 대해 광역도에서 수도사업을 직접 경영하여 수도사업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참고자료)

-

'E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주파 소음  (0) 2018.08.08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개정  (0) 2018.08.08
조류경보제  (0) 2018.08.01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 요약  (0) 2018.08.01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0) 2017.05.18
Posted by 수자환
,

조류경보제

EPE 2018. 8. 1. 17:05

오늘은 조류경보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조류는 하천같은 물에 서식하는 미세한 플랑크톤을 말하는데요.

조류경보제는 간단히 말해, 이러한 조류가 너무 많이 발생하면 상수원일 경우 정수장에서 정수처리를 더욱 유의해야 하고, 하천 이용시에도 음용시 독성을 나타내거나 각종 문제가 생기므로 조류의 양을 모니터링해서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단계별 경보를 발령해서 관련기관(취수장, 정수장, 수질측정기관, 환경청, 지자체 등)에서 해당 역할을 수행하여 문제에 대처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따라서 시험문제로도 단골메뉴 입니다. 잘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조류경보제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조류 경보제

 

(개요)

- 상수원 호소·하천(28개소) 수질관리를 위해 '98년부터 시행

근거 : 「물환경보전법」 제21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28조

대상 : 총 28개소(상수원 27개소, 친수활동구간(한강) 1개소)

 

(관리항목)

-  유해남조류 세포수

 

(측정주기)

- 주 1회(‘경계’단계 이상 발령시 주 2회) 실측

 

(경보 발령)

-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시 관리기관(지방청, 지자체)이 발령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남조류 세포수(세포/㎖)

1,000 이상

10,000 이상

1,000,000 이상

2회 연속 측정하여 남조류세포수가 기준 미만시 해제

 

(대응조치)

- 기관별 역할에 따라 모니터링 주기 확대, 오염원 관리 강화, 조류 제거, 정수처리 강화 등 조치

 

구 분

관 심

경 계

대 발 생

수질측정기관

-주1회 수질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냄새․독성물질 분석

-주2회 이상 모니터링 및 관계기관 통보

-냄새․독성물질 분석

경보제
운영기관

(지방청, 지자체)

-‘관심’경보 발령

-환경기초시설 등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경계’경보 발령

-대국민 상황 전파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자제 권고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조류대발생’경보 발령

-대국민 상황 전파

-친수활동, 어패류 섭취 금지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취․정수장 관리기관

-정수처리 강화
(활성탄, 오존처리 등)

-취수구 및 조류우심지역 차단막 설치 등

(좌동)

-취수구 이동

-원․정수 독소분석 실시

(좌동)

-조류제거 조치

(황토 살포 등)

 

(녹조(남조류) 증가 원인)

- 남조류는 유속이 느리고 인과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이 많은 환경에서 수온이 25℃ 이상으로 높아지고 일사량이 많아지면 왕성하게 자라는 특성이 있다.

- 여름철 장마가 짧은 경우, 유량·유속 증가 효과가 오래가지 못하고, 폭염과 강한 햇빛이 내리쬐면서 정체수역을 중심으로 남조류가 증가하게 된다.

 

(관련 용어)

- 부착돌말류 : 하천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1차 생산자. 조류 중에서도 바닥의 자갈이나 호박돌 등의 돌에 부착해 살아가는 돌말류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하천이나 호소 등 담수에 서식하는 생물 중에서 바닥에 살며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척추가 없는 동물입니다.
담수생태계의 1차 또는 2차 소비자로서, 편형동물문(플라나리아 등), 유선형동물문(연가시 등), 연체동물문(다슬기, 재첩 등), 환형동물문(실지렁이, 거머리 등), 절지동물문(새우, 가재 등) 등이 포함되는 생물군
- 대부분의 출현종 및 개체수는 절지동물문에 포함되는 수서곤충류(하루살이, 잠자리, 깔다구 등)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수자환
,

2018.07.31

정부(환경부)에서는 기후변화 등에 따른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을 개정하였습니다.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알아두셔야 하겠습니다.^^

개정된 지침을 바탕으로 답안 양식으로 재 정리 해보았습니다.

머리 식힐겸 스윽 한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우선 개요입니다.

"수도정비계획 수립지침"이란, 수도사업자(지자체·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및 승인기관의 검토 시 일반적 기준을 제시하는 지침이 됩니다.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게 되죠.

이번 지침은 물이용의 안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수자원의 이용 우선순위 설정지자체 물자급 제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가 전체적으로 제한된 가용수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상수도 시설의 적정 투자관리 등을 위한 것이다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주요 개정 내용입니다.

첫번째로, 수자원 이용의 우선순위 설정입니다.  지속가능성 順으로 수자원 이용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습니다.

① 빗물 활용 및 누수 저감
② 하·폐수처리수 재이용
③ 대체취수원 개발
④인근 지자체 및 광역 여유물량 공급

단일 수자원(댐 등 광역상수원)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지방상수도 약화 및 가뭄취약성을 가중시키고 있으므로 수자원 개발․관리를 전환하도록 하였습니다.

충남 보령댐 광역상수도 건설 이후 ’01년∼‘14년까지 지방취수원 20개소 폐지, 상수원보호구역 11개소 해제로 지방상수도 약화 및 ’15년부터 가뭄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다원화된 분산식 용수공급 기반을 확보하여 국가 전체적으로 제한된 수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토록 지속가능성 순으로 수자원의 이용 우선순위를 설정하였습니다.

 

두번째로, 하·폐수처리수 재이용수 사용을 활성화하도록 하였습니다.

신규 공업용수 수요 발생시 인근 하․폐수처리시설의 재이용수 우선 사용 및 기존 공업용수도 대체방안을 검토하도록 명시하여, 해당지역에 공급하던 깨끗한 공업용수를 생활용수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세번째로, 지자체의 물 자급률 제고하였습니다.

지자체 관할지역 내의 취수원 확보·보전,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수자원 우선 활용방안 등 수도정비기본계획 작성방향을 신설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장래 물부족 심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국내의 제한된 수자원을 최대한 확보·복원 및 활용 필요한 실정입니다.(지방수도사업자의 광역상수도 의존율: (‘95) 12.4% → (’16) 28.3%)

 

네번째로, 수도시설의 안전성 강화하였습니다.

신규 수도시설에 대해서는 내진설계를 적용하고, 기존 시설에도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 보수보강 계획을 제시토록 규정하여, 최근 국내외 강도높은 지진발생에 따라 수도시설의 안전확보토록 하였습니다.

 ‘16년 경주지진(경주하수처리장 벽체균열), ’17년 포항지진(양덕정수장, 흥해하수처리장, 바닥 및 벽체균열)으로 일부 시설에 피해가 있었다고 합니다.

 

다섯번째로, 수돗물 공급·관리단계에서 수질관리방안을 구체화하였습니다

수돗물 생산·공급과정별로 수질감시계획 수립내용을 세분화하였습니다.

(수돗물 생산·공급단계 : 취수원, 취수장, 도수관, 정수장, 송수관, 배수지, 배수관, 급수관)

 

여섯번째, 수요량 예측산정방법을 개선하였습니다.

장래인구를 예측하기 위해 외부인구의 유입률을 적용함에 있어 시도단위에서 시군단위로 세분화하고, 최신 연구성과에 따라 업종별 물사용량 산정을 위한 공업용수 원단위 개선 등 장래 필요한 물수요를 정확히 산정할수록 수도시설의 과다·과소투자 방지가 가능하므로 수요예측방법을 구체화하였습니다.

Posted by 수자환
,

오늘은 ​제79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기출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사시험은 총 4교시를 치르게 되며, 한교시는 100분입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니까, 시간 배분을 잘 하여야 합니다.

본격적으로 기출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1교시는 용어문제로 총 13개문제가 나오고 10개문제를 선택하여 답안을 작성합니다.

어떤 문제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겠지요. 시험시작 몇분은 문제 선택에 할애해서 신중하게 선택을 하여야 합니다.

항상 그렇듯이 1교시 용어문제는 이론문제이지요.

그리고 신규 이슈, 정책적인 용어가 나오면 생소한 경우가 많습니다.

1.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

2. 환경 호르몬의 개념

3. 옥상 녹화의 효과

4. 매립지 복원공법 중 치환객토법의 방법 및 특징

5. 양서류 서식처 조성시 고려사항

6. 블루네트워크(Blue network)와 그린네트워크(Green network)의 생태적 비교

7. 서울 남산 소나무림을 방해 극상에 의한 방법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지 않는 관리기법

8. 집단화 원리(Allee's principal)와 집단식재

9. 토양의 단립(單粒)과 입단(粒團) 구조의 비교

10. 우리나라 온대림의 2차 천이 과정

11. 먹이 연쇄에서의 생물학적 농축(Biological concentration)

12. 생물군집을 구성하는 종수와 개체수의 관계

13. 진화단계의 안정단계에서 나타나는 공생(共生) 관계


제2교시는 도서생물지리설은 약방의 감초로 기본적으로 숙지해야할 문제이고, 지표식물, 요즘은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갯벌에 대한 매립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 생태계훼손 대체 및 보상방법, 국립공원, 헤메로비의 개념 문제 등이 출제되었습니다. 난이도가 좀 있다고 볼수 있네요.^^ 

1. 도시녹지를 도서생물지리설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도시녹지의 생물종 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최근 우리나라 대도시의 자연환경은 지하수저하, 토양건조화, 도심열섬화, 기후온난화, 대기 및 수질오염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런 영향에 의해 분포면적이 넓어지고 있는 지표식물 3종류 이상을 들고, 분포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우리나라 갯벌 생태계의 특성과 중요성 및 갯벌매립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4. 생태계 훼손에 따른 대체 및 보상방법에 대한 독일과 미국의 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5. 우리나라 국립공원 토지 용도 구분중 공원자연보전지구설정을 생물서식처와 연계시켜 개선할 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6. 헤메로비(Hemeroby)의 개념과 등급기준 및 우리나라의 적용한계에 대해 기술하시오.


제3교시는 녹지자연도의 한계성, 그린벨트 비오톱의 찬바람생성지역 복원 방안, 청계천의 사례를 통한 생태복원, 예시를 통한 서어나무군락 이식방법, 토양생물 활성하방법, 비탈훼손지 생태적 복원방법에 대해서 출제되었네요.

1. 녹지자연도의 개념과 우리나라 중남부 식생지역에서의 등급판정기준 및 현장적용에서의 한계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2. 대도시 외곽의 그린벨트 비오톱 유형은 경작지비오톱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경작지비오톱중 약 50%가 시설경작지이고 나머지는 논과 밭 경작지인바, 이런 지역을 찬바람 생성지역으로 보전 및 복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설명하시오.

3. 서울 청계천 복원사업은 서울 환경개선에 대하여 기여한 점과 부족한 점이 상존하고 있다. 서울 환경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생태복원 부문중 미비점과 개선대책을 설명하시오.

4. 수도권 지역 택지개발 예정지구내에 서어나무군락이 5,000정도 포함되어 있다. 평균 수령 20년생, 평균수고 12~14m, 평균흉고직경 15~20cm 정도인데 서어나무 군락전체를 이식(군락이식)하고자 한다. 본 군락이식 방법을 모식도를 그려 설명하시오.

5. 토양 생물의 종류와 역할을 설명하고 균근발달 및 활성화 방법을 제시하시오.

6. 비탈훼손지의 발생유형을 단면으로 제시하고 환경포텐셜의 개념을 적용하여 생태적 복원방법을 설명하시오.


제4교시는 야생조류 조사방법, 생물 이동통로 문제점 및 도시공원에서의 조성기법, 예시를 통한 완충녹지 조성설계, 도시열섬화, 댐조성에 따른 자연생태계 훼손 및 복원방안,  자연환경훼손 형태 및 친환경적 도로조성방법에 대해 출제되었습니다.

1. 다양한 조건, 조사대상 및 조사환경에서 야생조류 조사방법을 기술하고, 조사결과의 평가기법 및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중부지방의 대도시 권역에 조성되는 생물 이동통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특히 도로에 의해 단절된 산지형 도시공원의 생물이동 통로 조성기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수도권 지역에 악취가 발생하는 공장지역과 아파트지역 사이에 폭 100m, 성토높이 10m, 길이 1km의 완충녹지를 조성하려 한다. 냄새차단, 생물이동통로, 지역주민의 휴식장소 등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계획구상을 도면을 그려 설명하고, 아울러 배식계획은 자생낙엽활엽수를 이용한 층위구조, 식재밀도(주/100), 식재간격, 평균수고, 평균 흉고직경 등을 나타내도록 하시오.

4. 도시 열섬화의 개념, 종류, 특성, 원인 및 생태적 저감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5. 중부지방의 댐조성에 따른 자연생태계 훼손의 주요내용과 이에 따른 생태적 복원방안에 대해 구체적 실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6. 자연환경훼손의 형태별 유형(점적, 선적, 면적)을 친환경적 도로조성에 적용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추후에는 여건이 되는데로, 기출문제 해설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지침 요약  (0) 2018.08.01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0) 2017.05.18
제77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0) 2017.05.17
제76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0) 2017.05.17
제101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0) 2017.05.17
Posted by 수자환
,


제77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10점)

1. 자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한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제도에 대해 설명

2. 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스크리닝(screening)과 스코핑(scoping)의 개념 및 필요성

3. 매토종자의 유형과 특성 및 매토종자 조사법에 대하여 설명

4. 환경교란에 따른 생물군집의 우점도, 종풍부도, 종다양도 변화에 대한 설명

5. 해안사구의 중요성을 약술하고, 사구식생의 효과적인 복원방법에 대한 설명

6. 도서생물지리학을 육상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파편화된 서식처의 면적에 대한 SLOSS(Single Large Or Several Small)논쟁에 대하여 설명하고, 경관조각의 이상적 배치에 대해 설명

7. 수생관속 식물의 생활형(life form)을 구분하고 각 생활형별로 해당 생물종을 1종이상 제시

8. 개체군 증가의 유형 및 환경의 수용력(carrying capacity)에 대하여 설명

9. 비탈면에서 녹화식물 생육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비탈면 토양경도의 수치범위와 식물생육 경향에 대하여 설명

10. 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 방안

11. 환경․교통․화재등에관한영향평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분야 및 항목을 기술

12.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지정된 관리동물의 종류 및 그 지정 사유에 대하여 설명

13. 자연공원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용도지구를 구분하고 그 내용을 설명


2교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생물학적 수환경평가의 필요성 및 지표종(Indicator Species) 선정시 고려할 중요사항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 하천과 주변식생대를 포함한 하천코리더(Riparian Corridor)의 개념과 구조를 설명하고, 하천차수(Stream Order)에 따른 하천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변화를 설명하시오.

3. 우리나라가 가입한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협약의 종류 및 동 협약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의 3대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또한 유네스코의 “인간과 생물권”(UNESCO MAB)에서 제시한 동 지역의 관리를 위한 세가지 지역 구획과 각 지역의 구획 목적에 대해 기술하시오.

5. 도시숲의 개념과 유형,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림을 효과적으로 복원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건설로 훼손된 비탈면의 복원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천이계열과 편향천이계열에 대하여 설명하고, 1차식생으로 나타나는 식물상 및 천이후기 식물상과 효과적인 비탈면식생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자연환경보전법상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동 시설물을 설치 운영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수변 완충녹지대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최근 재활용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중 친환경자재인 식물발생재의 이용과 관련하여 식물발생재 종류와 분쇄 및 이용 사례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대체습지의 조성 위치에 따른 장․단점을 설명하고, 택지개발로 소실되는 소택형습지를 다른 곳에 조성하고자 할 때 적절한 환경적 기반과 도입식물, 발생예상 식물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전략환경평가의 개념을 설명하고, 전략환경평가와 기존 환경영향평가를 비교하여 대상, 절차, 방법론상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6. 환경용량을 결정하는 수용력의 대표적 유형의 종류를 설명하고, 환경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에머지분석(emergy)의 개념 및 단계별 분석과정을 설명하시오.


4교시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문제당 25점)

1. 지역의 자연요소를 하나의 전체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생태계를 구성하는 수직적 관계와 생태적 관계를 해석하는 수평적 관계에 대한 해명이 중요하다. 그러면 여기에서 의미하는 수직적 관계와 수평적 관계에 대해 서술하고, 경관 모자이크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논하시오.

2. 도로 비탈면을 환경친화적으로 생태복원녹화하기 위해서는 생태자연도 등급과 국토환경성 평가 결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복원목표로 초본위주형, 목본군락형, 생물다양성 복원형을 설정할 때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특히 국토핵심생태녹지축 지역에서 적용하여야 할 복원목표와 사용식물의 배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단지내 우수․저류 및 침투 연못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효과적인 배치 및 구성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일반적인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 대하여 도식하여 설명하고, 생태계의 보전․복원에서 목표가 되는 생태적 지표종, 중추종, 우산종, 상징종, 희소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담수의 식물플랑크톤 조사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6. 자연형 하천의 조성 필요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특히 바람직한 호안식생 복원을 위한 조성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Posted by 수자환
,


제76회 자연환경관리기술사

1교시

※ 다음 문제중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10점)

1. “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을 정의하고, 이에 해당되는 종명을 4개 이상 기술하시오

2. 습지생태계의 주요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3. 위도가 낮아질수록 군집과 종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생물검정(Bioassay)를 위하여 적당한 생물종의 선택기준을 설명하시오.

5. 국토환경성 평가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6. 점이대(Ecotone)의 기본적 기능을 설명하시오.

7. 핵심종(Keyston speci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연안역의 일반적 적조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시오.

9. 오염의 정의와 오염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0. 대기오염의 현상중 2가지 유형의 스모그 현상을 설명하시오.

11.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5가지 주요 재순환 경로를 설명하시오.

12. 어떤 산림생태계에 존재하는 노루 개체군의 개체수는 100마리였다.  개체군의 증가율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을때, 개체군이 2배(200마리)가 되려면 몇 년의 소요되는지 계산하시오.(개체군의 년 증가율 r=0.5, ln2=0.69315)

13. 어떤 하구역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에 대하여 Shannon-wiener함수 [H=]를 이용하여 이들 군집에 대한 다양성 지수(diversity index)를 구하시오. (유효숫자 2자리까지 계산)


2교시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25점)

1. 개체군 성장에서 나타나는 대조적인 생식전략인 r전략(r-selection)과 k전략(k-selection)에 관하여 설명한 후, 다음을 계산하시오. 멧토끼 개체군은 처음 1쌍이 관찰된 후 1년 후에 18 마리가 관찰 되었다. 3년후에는 몇마리가 될 것인가?(sigmoid model 형이며, K = 500 마리이다) ln 249 =5.52,  ln 26.78=3.29,  exp(-1.17)=0.31이다.

2. 온대역의 호소 및 해양에 있어서 계절적 환경변화에 따른 기초 생산력의 변화 양상을 설명하시오. 

3.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중장기 보전대책에 포함되어야 할 중요사항을 기술하시오.

4. 모니터링의 정의, 중요성 및 생물학적 반복조사(biological surveillance)의 장점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5. 자연형 하천 정비계획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명하시오.

6. 서식지외 보전기관을 열거하고 그 기능을 설명하시오.


3교시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25점)

1. 생물 다양성 구배를 일으키는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교토의정서의 채택배경, 쟁점, 메카니즘을 설명하시오.

3. 생태계의 3대 특성, 기능 및 구조를 설명하시오.

4. 생태네트워크의 개념 및 유형을 설명하시오.

5. 녹조 및 적조의 제어를 위한 생물학적 제어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6. 종 다양성 소멸의 원인, 보존의 중요성 및 대책에 관하여 논하시오.


4교시

※ 다음 문제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25점)

1. 육상 식생과 하천생태계와의 상호관계를 설명하시오. (에너지, 먹이원 및 영양염의 순환을 중심으로)

2. 유류의 생물분해(bio-degradation)과정을 설명하고, 유류와 유류분해제가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시오.

3. 수계 부영양화의 과정, 현상 및 문제점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4. 생물종수와 서식지 면적과의 관계를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설명하시오.

5. 생태통로의 필요성과 유형을 야생동물 종류별로 설명하시오.

6. 외래식물 침입에 따른 군집반응 중 군집변화, 경쟁 및 생태계 교란 현상을 설명하시오.


Posted by 수자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