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생물다양성전략 및 이행계획(Loc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LBSAP)'이란 지방정부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현실적인 거버넌스와 관리를 실행하기 위해 채택하는 것이다.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이 한 국가의 특정 환경에서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을 이행하도록 로드맵을 구성하는 것과 같이 지방생물다양성전략 및 이행계획은 하위개념으로 지역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LBSAP은 2010년 10월 일본나고야에서 열린 제 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주된 이행계획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구역 설정, 관련법규 및 정책 시행, 역량 구축 및 의식제고 등이다.
지역생물다양성 관리가 중요한 까닭은 지역의 개발 여부와 방법을 지방정부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민들의 참여, 교육, 동원할 수 있는 기회들을 활용하여 보다 생태 감성적인 사회를 조성할 수 있고, 생물다양성과 생태계는 비용효과적으로 지자체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시 돌아와서, LBSAP 수립을 위한 과정으로 정책과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방정부의 정치적, 제도적 맥락을 파악하고 평가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생물다양성 관리가 지방정부의 광범위한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의 부문별 계획 과정에 침투해 들어가서 win-win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새로운 파트너쉽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LBSAP 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가능한 많이 참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참가자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고, 개발과정에서 주인의식을 높이는 것은 계획의 성과를 좌우하는데 핵심 요소가 된다. 정부 내 이해관계자는 여러 담당 부처들과 의회, 사법부 등이 있으며, 시민사회 내 국내 NGO, 국제 NGO, 환경단체, 농민, 어민, 과학자, 연구소 등이며, 민간부문에는 녹색기술기업, 민간개발업자, 건설회사, 공공시설 운영자, 공장관리자, 지역상점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해관계자가 참석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어떤 단체도 배제되지 않게 노력하여 다양한 이해관계가 역동적이고 민주적으로 표현되면서도, 구체적인 목표와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E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자연도 활용예 (0) | 2016.10.18 |
---|---|
포터가설(Porter Hypothesis) (0) | 2016.10.13 |
창시자효과(founder effect) (0) | 2016.10.13 |
생물다양성 주류화 (0) | 2016.10.13 |
침투마우스 (0) | 2016.08.06 |